코난 엑자일(Conan Exiles) 게임에 유용한 게임 모드(창작마당)

이미지
스팀(Steam) 오픈 월드 생존게임 코난 엑자일이 계속해서 꾸준한 업데이트를 하고 있지만, 몇 가지 불편 사항이 있는 건 사실이다. 다행히도 코난 엑자일은 창작마당이 있어 유저들이 직접 제작한 여러가지 모드가 많이 있다. 그 중에서 게임을 진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모드를 소개한다. Simple Minimap (미니맵) 코난 엑자일은 요즘 게임들과는 다르게 미니맵(MiniMap)이 없다. 단축키 M키를 눌러 수시로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게임을 진행하는데 조금의 불편함이 느껴진다. Simple Minimap을 설치하면 화면 오른쪽 상단에 미니맵이 표시되고, 확대와 축소, 투명도 등의 설정이 가능하다. Litman Increased Weight (인벤토리 무게 제한) 코난 엑자일은 가방(인벤토리)의 슬롯이 정해져 있고, 무게까지 적용된다. 슬롯의 수는 생각보다 많아서 다양한 종류의 아이템을 가지고 다닐 수 있지만, 소지 무게가 워낙 낮아서 나무, 돌, 철광석 등의 재료를 조금만 들어도 무게 한계치를 넘어 걸어 다니게 된다. 멀티플레이의 경우 일을 분담하면 되지만 혼자 할 경우 코난 엑자일의 소지 무게는 굉장히 불편하다. Litman Increased Weight는 무게를 7,000,000 까지 늘려주어 모든 아이템을 들고 다닐 수 있을 정도가 된다. Extended Shortcut Bar (단축키 확장) 코난 엑자일의 아이템 슬롯 단축키는 1~8번까지 밖에 없다. 무기도 다양하고, 채집 도구, 제작 재료 등 넘쳐 나는 아이템 때문에 슬롯 8개 만으로는 계속 바꿔가며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Extended Shortcut Bar은 3줄의 슬롯에 아이템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24개의 도구를 슬롯에 장착하여 단축키 하나 만으로 번갈아가면서 사용이 가능하다. 한 줄은 채집 도구, 한 줄은 사냥 도구 등으로 슬롯을 채우면 게임을 진행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Fashionist (코스튬) 코난 엑자일에 여러 가...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의 역사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은 수십 년에 걸쳐 발전하여 간단한 보드 게임 각색에서 플레이어가 실시간 또는 턴 기반 설정에서 광대한 제국과 군대를 관리하는 복잡한 디지털 세계로 전환되었다.

초기 전략 게임의 개발, 시드마이어의 문명(Civilization)과 같은 장르를 정의하는 타이틀의 등장, 커맨트 앤 컨커(Command &conquer) 및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Age of empires)와 같은 실시간 전략(RTS) 게임이 등장하며 전략 시뮬레이션의 부흥을 알렸다.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의 시작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의 시작은 Risk 및 Chess와 같은 전쟁 게임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미리 움직임을 계획하고 전략을 수립한다. 초기 아날로그 게임은 전략적 사고, 자원 관리 및 상대방을 따돌릴 필요성을 강조하여 디지털 전략 게임의 기반을 마련했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컴퓨터가 더욱 정교해지면서 개발자는 보드 게임 메커니즘을 디지털 형식으로 만들기 시작했다. 컴퓨터 비스마르크(Compute Bismarck)와 엠파이어(Empire) 같은 컴퓨터 게임은 대규모 군대를 지휘하는 느낌을 재현했다.

이러한 초기 전략 게임은 턴 기반이어서 플레이어가 각 움직임을 하기 전에 신중하게 생각할 수 있었으며, 기존 보드 게임의 속도와 비슷했다.


턴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이정표 중 하나는 1991년 출시한 시드 마이어의 문명(Sid Meier's Civilization)이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전체 문명의 발전을 제어하는 심오하고 장기적인 게임 플레이를 제공함으로써 턴 기반 전략 장르에 혁명을 일으켰다.

플레이어는 기술, 전쟁, 무역, 정치에 대한 결정을 내려 역사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게임의 상징적인 턴제 방식이 운영이 새로운 가능성과 도전을 열어주어 악마의 게임이라고 불릴 정도로 몰입감이 뛰어났다.

Civilization은 자원 관리, 도시 건설, 외교, 군사 정복이라는 장르를 정의하는 몇 가지 핵심 요소를 도입했다. Civilization의 성공은 여러 속편과 스핀오프를 만들어냈으며 반복에서 공식이 개선되고 할 것이 많아졌다.


삼국지 시리즈

그 영향은 뒤따른 많은 턴 기반 전략 게임에서 볼 수 있으며 장르를 정의하는 타이틀로서의 자리를 굳건히 했다.

그외에도 턴제 전략 시뮬레이션으로 KOEI 삼국지 시리즈가 있다.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시리즈가 출시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게임이다.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삼국지 역사 속의 군주를 선택하여 전투, 내정, 외교 등으로 정복 활동을 할 수 있으며, 후에는 군주가 아닌 하나의 장수를 선택하여 플레이가 가능했으며 가상의 인물을 만들어 자신만의 국가를 건립하여 플레이가 가능했다.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실시간 전략(RTS) 게임의 등장은 턴 기반 방식의 게임보다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의 장르에 새로운 차원을 가져왔다.

플레이어가 번갈아가며 액션은 취하는 턴 기반 게임과는 달리 실시간으로 결정을 내려야 했기 때문에 게임 속도가 굉장히 스피드하고 강렬한 경험을 느끼게 했다.

최초의 RTS 게임으로 여겨지는  Dune 2는 1992년에 출시되어 실시간으로 자원 수집, 기지 건설, 유닛 생산을 도입하였다.


Command &Conquer

하지만 RTS 장르를 진정으로 대중화 시킨 것은 웨스트우드 스튜디오(Westwood studios)에서 제작하여 1995년에 출시한 커맨드 앤 컨커(Command &Conquer)였다. 전쟁 중인 두 진영을 특징으로 하며 플레이어는 실시간으로 기지를 건설하고 자원을 수확하며 군대를 통제할 수 있다.

빠른 속도의 액션, 전략적 계획, 멀티플레이 옵션이 결합되어 상업적으로 성공하였다.

동시에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Blizzard Entertainment)에서 제작하여 1994년에 출시한 워크래프트(Warcraft)는 오크 대 인간의 전쟁이라는 매력적인 스토리라인으로 RTS 장르의 판타지 세계를 열었다.


전략 시뮬레이션의 부흥

1998년 3월 블리자드의 스타크래프트(StarCraft)가 출시되며 RTS 장르의 부흥을 알렸다. 저그, 테란, 프로토스라는 인간과 외계 종족으로 우주 전쟁을 기반으로 매력적인 캐릭터와 유닛이 등장했다. 이후에 확장팩 브루드 워(Brood War)이 출시되고 RTS 장르 1위를 차지했다.


스타크래프트

e스포츠가 생겨난 이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완성도 높은 스타크래프트는 멀티플레이 뿐만 아니라 게임 내의 종족간의 밸런스가 완벽할 정도여서 어느 종족, 유닛 하나 버려지지 않고 많은 플레이어들이 골고루 사용하게 될 정도로 완성도가 높은 게임이다.

기술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전략 시뮬레이션 장르는 턴 기반 게임에서 실시간 게임으로 진화하였다. 이 장르는 계속 확장되어 플레이어를 전략적 사고와 의사 결정에 참여 시키는 새로운 방식의 장르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본다.